Ch.Covelope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for문 .2 본문

JavaScript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for문 .2

Chrysans 2021. 12. 7. 18:07
728x90
반응형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for문 문제풀이(실습해보기)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포문으로 풀어 볼 수 있는 문제(난이도 없음)를 풀어볼 건데 문제라기보다 그냥 for문을 이해하기 위한 실습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거 같다.

 

 

 


 

 

글씨 거꾸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let s = 'hello world'   // s 라는 변수에 텍스트를 할당한다.

for (let i = s.length; i >= 0; i--) {  

//1. 초기값 에 텍스트의 길이만큼을 할당하고
//2. i 가 0 보다 크거나 같으면 반복문을 마친다.
//3. i-- 로 1씩 감소된다.
//// 텍스트의 길이가 10이고 1씩 감소되면서 반복된다.

  console.log(s[i])
 // 초기값의 할당된 텍스트의 길이가 10이고 할당된 텍스트를 인덱스로 봤을때는 9 이기때문에
 // 처음 콘솔에는 undefined 가 나오고 인덱스 9에 위치한 d 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거꾸로 찍히게된다.
 // 처음 undefined 를 없앨려면 s.length -1 로 초기값을 주면 해결된다.
}

결과

d
l
r
o
w

o
l
l
e
h

 

1. 초기값에 텍스트의 길이만큼을 할당하고
2. i 가 0 보다 크거나 같으면 반복문을 마친다.
3. i-- 로 1씩 감소된다.
4. 텍스트의 길이가 10이고 1씩 감소되면서 반복된다.

 

 초기값 에 할당된 텍스트의 길이가 10이고 할당된 텍스트('hello world')는 인덱스로 봤을때는 0-9까지(그래서10) 이기때문에 처음 콘솔에는 undefined 가 나오고 인덱스 9에 위치한 d 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거꾸로 찍히게된다.

처음 undefined 를 없앨려면 s.length -1 로 초기값을 주면 해결된다.

 


 

 

글씨 거꾸로 출력하기.

let s = 'hello world'
// 위에서 썼던 텍스트. 
let temp = ' ';
// temp 에 빈 문자열을 할당한다. 
for (let i = 0; i < s.length; i++) { 
// 1. 초기값은 0 으로 s에 할당한 텍스트의 길이만큼 1씩 증감한다. 

temp = s[i] + temp 
// 2. 0(index 0 = h)부터 한글자씩 temp 에 더해서 temp에 할당해준다.
// 3. 그럼 h부터 들어가므로 맨 처음 들어간 h 가 hello world가 전부 들어가면 결국 맨뒤에 도착해있다.

} console.log(temp) 

결과물 dlrow olleh

 1. temp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빈 문자열을 할당한다.
 2. 초기값은 0으로 s에 할당한 텍스트의 길이만큼 1씩 증감한다.
 3. 0(index 0 = h)부터 한 글자씩 temp에 더해서 temp에 할당해준다.
 4. 그럼 h부터 들어가므로 맨 처음 들어간 h 가 hello world 가 전부 들어가면 결국 맨뒤에 도착해있다.

※ 과정 temp = h →  temp = eh → temp = leh → temp = lleh → temp = olleh →......→ temp = dlrow olleh

 


 

 

배열에 평균 구해보기

let result = 0; //결과값을 담을 변수에 0을 할당해준다. 
let sum = [10,20,30,10,20,30,40,10] // 평균값을 구할 배열값. 

for (let i = 0; i < s.length; i++) { 
// 0부터 배열의 길이까지 증감시켜주고.

result = (sum[i] + result) ;  
// 반복하면서 나온 배열의 값들을 result에 더하고 그 값을 result에 담는다.

} console.log(result/sum.length)
// 콘솔로그에 배열값이 더해진 result 에 나누기 배열의 길이만큼을 나눈다. 

총합계 170 

결과값 . 21.25

 

1. 결괏값을 담을 변수에 0을 할당해준다.
2. 평균값을 구할 배열을 할당해준 변수를 선언한다.
3. 0부터 배열의 길이까지 증감시켜주고.
4. 반복하면서 나온 배열의 값들을 result에 더하고 그 값을 result에 담는다.
5. 콘솔 로그(console.log)로 배열 값이 더해진 result에 나누기 배열의 길이만큼을 나눈 값을 출력한다.

 


 

 

 

코딩,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하지 1달정도 되었고 아직도 html과 css조차 완벽히 이해하고 잘하지 못했다, 그래도 마크업과 스타일을 배울때는 그래도 할만하다 생각했었는데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수업에 들어오니 매일 매일 매순간이 멘붕이고 한가지를 이해 하기전에 이미 저 멀리 진도는 나가있고... 지금은 for문이 아니 한~~~~참 앞으로 진도가 나가있지만 이렇게 포스팅하면서 다시 되새기고 공부하고 찾아보면서 천천히 이해하고 공부하면서 익숙해 지도록 해야겠다. 이건 도저히 급하게 한다고 내께 되는게 아닌거 같다.

 

 

 

 

 

 

 

https://github.com/chry8822

 

chry8822 - Overview

‘Keep true to the dreams of thy youth’ . chry8822 has 12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