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컨텍스트 2

JavaScript 핵심 개념 이해하기 : 프로토타입, 실행 컨텍스트, this 바인딩 정리

JavaScript를 배우면서 가장 어려운 개념을 꼽으라면 단연 프로토타입, this, 그리고 실행 컨텍스트라고 말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우연히 좋은 내용에 글을 보고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프로토타입과 클래스의 근본적 차이   1.1 클래스 기반의 철학적 배경   1.2 프로토타입 기반의 철학적 배경   1.3 프로토타입의 핵심 특징   1.4 프로토타입의 실제 구현 메커니즘   1.5 가족 유사성의 실제 구현   1.6 컨텍스트(맥락)에 따른 의미 변화   1.7 프로토타입과 인스턴스 수준의 수정   1.8 위임(Delegation)의 실제 동작   1.9 동적 확장의 장점과 단점 2. 자바스크립트의 실행 컨텍스트와 렉시컬 환경  2.1 실행 컨텍스트의 구조   2.2..

JavaScript 2025.02.13

프론트(FE) 면접 질문 리스트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일1. URL 파싱     - 브라우저는 입력된 URL을 파싱 하여 프로토콜, 도메인, 경로 등을 분석합니다.     URL : 리소스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화된 주소 체계(고유한 식별자)     프로토콜 (protocol) :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통신하는 방법     도메인(domain) : 웹사이트의 고유한 이름    경로(path) : 웹 서버 내의 특정 리소스 위치  2. DNS 조회     - 먼저 브라우저 캐시, 운영체제 캐시, 라우터 캐시, ISP 캐시를 확인합니다.     - 캐시에 없다면,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SK, KT 등)의 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브라우저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NS 조회를 ..

front_end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