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반복문
- array
- 배열
- CSS
- 내일배움카드
- 리액트
- 이벤트루프
- 웹개발
- 메소드체이닝
- 타입스크립트
- react
- 멋쟁이사자처럼
- Let
- useState
- for문
- 프론트엔드
-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 국비지원
- 화살표함수
- frontend
- SS
- JavaScript
- VAR
- 멋사
- likelion
- 비동기
- 코딩
- 제주코딩베이스캠프
- 네트워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8
Ch.Covelope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ZHum/btrqUSiANjG/hrSc9AEMVkoVsOSOSjwQ0K/img.png)
React https://ko.reactjs.org/ React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React Facebook 에서 만든 제이쿼리 와 같은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이다. (Angular, Blazor 는 프레임워크); 그래서 우리는 필요한 만큼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기반으로 유지보수와 재사용에 용이 Virtual DOM 으로 수정되는 부부만 업데이트 JSX (JavaScript + HTML)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을 구현하기 좋다. 사용자 경험 ↑(링크가 바뀌지 않는다.) 선언형 프로그래밍.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How (..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kksa/btrqGr7boUo/upeBuhkxqJNo2mEMI9nAz1/img.png)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랜더링 하는 과정 -DOM(Document Object Model)은 웹 페이지에 대한 인터페이스입니다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은 사용자가 페이지에 접속하여 HTML을 서버에서 내려받게 되면 이를 브라우저 렌더링 엔진에서 파싱(처리) 한다. 이렇게 "DOM 트리" 를 만들고, link 태그를 통해 CSS 파싱을 해서 "CSSOM 트리"를 결합한 것이 "렌더 트리" 가 되고, 레이아웃 작업에서 엘리먼트가 그려질 위치를 계산하고 페인트 단계에서 화면에 그려준다. 이 과정을 진행하다가 자바스크립트를 만나면 런타임 환경에 수행권한을 넘겨 자바스크립트를 파싱을 완료 할때까지 DOM 파싱은 중단된다. 호이스팅이란 함수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끌어올려 해당 함수 유효 범위의 최상단에 선언된거 처..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x4N/btroyHR23Fu/7awwS8CDj6FGgwnKUUkDE1/img.png)
Javascript call by value - reference. 평가 전략 (evaluation strategy) call by value. 의미와 같이 값이 그대로 복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바스크립트(JS)에서는 원시 데이터/원시 값의 경우 값의 복사 call by value가 발생하게 됩니다. call by value. var i = 1; function somefunc(a) { a = a + 1; return a; } somefunc(i); // i의 값을 파라미터로 값만 복사해서 넘긴다. 복사된 값을 넘기기 때문에 원본은 바뀌지 않는다. console.log(i) // 결과 1 i의 값을 함수의 인자로 파라미터로 넘길때 값을 복사해서 넘기기 때문에 원본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call by ..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W6ee/btrotkf420C/CdH5UUS5iTsLfjVA0MLVO1/img.png)
Javascript Map map은 배열을 순회하면서 실행되는 콜백함수의 결과값들을 새로운 배열로 반환한다. Array(배열) 에 map 메소드를 사용해서 배열 * 2 값을 만들기. let array = [1, 4, 9, 16]; let result = array.map(x => x * 2); // 배열에 map 메소드를 사용해서 리턴값으로 배열의 원소 *2값을 result 에 할당한다. //화살표함수( 전통적인 함수표현(function)의 간편한 대안) console.log(array) //map 은 원본값은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여 리턴한다. [1, 4, 9, 16] console.log(result) //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여 result의 할당한 결과값. [2, 8, 18, 32] ..
![](http://i1.daumcdn.net/thumb/C250x2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QYZU/btrn0WunwhM/kNds87v0H1FWtyqzOa7kD1/img.png)
Javascript 재귀 함수, 즉시 실행 함수. 재귀 함수와 즉시 실행 함수. 재귀 함수는 말 그대로 자기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고 특정 조건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호출하고 조건이 충족되면 함수를 빠져나온다. 재귀 함수를 사용할 때는 함수를 끝내는 종료 조건이 있어야 한다. 없으면 무한으로 계속해서 돌기 때문이다. 일부 함수는 반복문으로 구현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tree 구조의 노드 전체를 확인할 때 재귀를 사용하면 적은 코드로 확인 가능하고 직관적이다. 하지만 재귀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스택을 소비하기 때문에 반복문에 비해 메모리 소비 또는 시간이 더 걸리수 있다. (스택은 나중에 포스팅) 오늘은 재귀 함수중에서 팩토리얼 : 수학적 용어로 계승이란 뜻으로 1부터 n까지의 정수를 곱하는..